치매전조증상이라 느껴지면 먼저 자가진단체크를 해보세요
그다음은 보건소의 무료검사, 병원에서의 정밀검사순으로
검사를 진행하시면 좋겠습니다
대한치매학회에서 치매관련 정보를 얻어보세요
자주 깜박깜박하는 일이 생기거나 나이가 들어만가도 치매라는 병에 대한 우려와 걱정이 찾아옵니다. 치매라는 병은 치료제가 없다는 것에 한번더 좌절합니다만, 먼저 전조증상이 있을때 아래 자가진단체크을 한번 해보시면 안심이 되지 않을까요?
지금 이 증상이 치매증상인지 건방증인지 자가진단으로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치매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KDSQ-C) 아래 문항에 대해 **"예(1점)" 또는 "아니요(0점)"**로 답해주세요.
|
자가진단 점수 해석
- 0~5점: 정상 범위
- 6~9점: 경도인지장애 가능성 (추가 검사 필요)
- 10점 이상: 치매 가능성 높음 (병원 방문 권장)
위의 자가진단지 검사는 단순 선별도구이고 정확한 진단이 아니므로 치매가 의심될 경우 가까운 보건소나 신경과 전문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가 어떤것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걱정과 불안이 해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 자가진단에서 치매가 의심된다면 아래의 대한치매학회 사이트 방문을 추천드립니다. 다양한 치매관련 정보가 많은곳입니다.
대한치매학회는 치매관련 연구와 교육, 그리고 사회적 활동을 주도하는 학술단체입니다 |
치매 검사는 보건소(무료 선별 검사)와 병원(정밀 검사)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두 곳의 차이점을 비용과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1. 치매 검사 병원 vs 보건소 차이점 비교
구분 | 보건소검사 | 검사병원검사 |
목적 | 치매 조기 선별 및 예방 | 치매 확진 및 원인 감별 |
대상 | 60세 이상 어르신 | 치매 의심자 및 확진자 |
검사 종류 | 선별 검사 (간이정신상태검사 MMSE, KDSQ-C) | 정밀 검사 (신경심리검사, MRI, PET 등) |
검사 비용 | 무료 | 유료 (건강보험 적용 가능) |
소요 시간 | 20~30분 | 1시간~수시간 (검사별 차이) |
검사 결과 | 치매 가능성 여부 판단 | 치매 확진 및 원인 분석 가능 |
추후 조치 | 인지 강화 프로그램, 병원 연계 | 약물 치료, 전문의 상담, 추가 검사 |
핵심 차이점
- 보건소에서는 치매 위험 여부만 확인 가능하며, 치매가 의심될 경우 병원으로 연계됨.
- 병원에서는 MRI, 혈액검사,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치매 유형 및 원인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음.
2. 치매 검사 비용 비교
검사명 | 보건소 | 병원(건강보험적용) | 병원(비급여) |
MMSE (간이정신상태검사) | 무료 | 약 1,000~2,000원 | 약 10,000원 |
KDSQ-C (치매선별검사지) | 무료 | 약 1,000~2,000원 | 약 10,000원 |
MoCA (경도인지장애 검사) | 시행 안 함 | 약 10,000~20,000원 | 약 50,000원 |
CERAD-K (신경심리검사) | 시행 안 함 | 약 30,000~50,000원 | 약 100,000원 이상 |
MRI (뇌 자기공명영상) | 시행 안 함 | 약 80,000~150,000원 | 약 400,000~600,000원 |
PET (양전자 단층 촬영) | 시행 안 함 | 약 200,000~300,000원 | 약 1,000,000원 이상 |
혈액 검사 | 시행 안 함 | 약 10,000~30,000원 | 약 50,000원 이상 |
유전자 검사 | 시행 안 함 | 약 50,000~100,000원 | 약 300,000원 이상 |
비용 차이점
- 보건소 검사는 완전히 무료이며, 간단한 선별 검사만 시행함.
- 병원 검사는 건강보험 적용 시 비교적 저렴하지만, MRI, PET 등 정밀 검사는 비급여 항목이 많아 비용이 높음.
3. 치매 검사는 어떻게 받아야 할까?
1단계: 보건소 무료 검사
- 60세 이상이면 가까운 보건소에서 무료 치매 선별 검사를 받을 수 있음.
- 검사 결과 치매 위험이 높다면 병원 정밀 검사 추천.
2단계: 병원 정밀 검사
- 보건소 검사에서 치매 의심 판정이 나오면, 신경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 방문.
- MRI·PET 등 추가 검사를 통해 치매 확진 여부 및 원인 분석 가능.
마치며
- 보건소에서 먼저 무료 검사 후 치매 위험이 있으면 병원 검사 진행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병원 검사는 건강보험 적용 시 비용 부담이 줄지만, 정밀 검사는 비급여 항목이 많아 비쌉니다.
- MRI, PET 등 영상 검사는 수십~수백만 원이 들 수 있어, 건강보험 적용 여부 확인 필요합니다.
치매가 걱정된다면, 보건소에서 먼저 무료 검사를 받고 병원 정밀 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자격대상, 고객확인번호, 가입도시가스사 확인방법까지 (0) | 2025.03.19 |
---|---|
유니세프 정기후원 취소방법 4가지 정리 (0) | 2025.03.18 |
2006년생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및 사용법 (0) | 2025.03.12 |
서울스카이 전망대 입장권할인방법,주차할인정보까지[잠실롯데월드타워] (0) | 2025.03.12 |
운전면허 갱신 방법 초간단 가이드! 온라인 & 방문 신청 방법 정리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