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 2025. 3. 14. 03:10

치매 검사방법, 자가진단체크,보건소검사 vs 병원검사 비교 정리 (비용 포함)

치매전조증상이라 느껴지면 먼저 자가진단체크를 해보세요
그다음은 보건소의 무료검사, 병원에서의 정밀검사순으로
검사를 진행하시면 좋겠습니다
대한치매학회에서 치매관련 정보를 얻어보세요

 

자주 깜박깜박하는 일이 생기거나 나이가 들어만가도 치매라는 병에 대한 우려와 걱정이 찾아옵니다. 치매라는 병은 치료제가 없다는 것에 한번더 좌절합니다만, 먼저 전조증상이 있을때 아래 자가진단체크을 한번 해보시면 안심이 되지 않을까요?

지금 이 증상이 치매증상인지 건방증인지 자가진단으로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치매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KDSQ-C)

   아래 문항에 대해 **"예(1점)" 또는 "아니요(0점)"**로 답해주세요.
  1. 오늘이 몇 월, 몇 일인지 자주 헷갈리거나 모른다.
  2. 자꾸 같은 질문을 반복해서 한다.
  3. 이전에 잘 다니던 길을 잊어버리거나 헤맨 적이 있다.
  4.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몰라서 찾지 못하는 일이 잦다.
  5. 물건을 둔 곳을 기억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가져갔다고 의심한다.
  6. 약속을 해놓고 잊어버리는 일이 많다.
  7. 과거에 비해 계산하는 능력이 떨어졌다.
  8. 집안일이나 취미 생활에 대한 관심이 줄었다.
  9. 예전보다 성격이 변했다 (예: 쉽게 화를 내거나 우울함 증가).
  10. 대화 중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말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11. 길을 잃거나 집 주소, 전화번호를 잊어버린 적이 있다.
  12.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책, 신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졌다.
  13. 집안일이나 돈 관리 등 일상적인 일을 처리하는 것이 힘들다.
  14. 가족이나 친구들의 얼굴이나 이름이 헷갈릴 때가 있다.
  15. 대화할 때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같은 말을 반복한다.

자가진단 점수 해석

  • 0~5점: 정상 범위
  • 6~9점: 경도인지장애 가능성 (추가 검사 필요)
  • 10점 이상: 치매 가능성 높음 (병원 방문 권장)

위의 자가진단지 검사는 단순 선별도구이고 정확한 진단이 아니므로 치매가 의심될 경우 가까운 보건소나 신경과 전문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가 어떤것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걱정과 불안이 해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 자가진단에서 치매가 의심된다면 아래의 대한치매학회 사이트 방문을 추천드립니다. 다양한 치매관련 정보가 많은곳입니다.

대한치매학회

대한치매학회 바로가기

대한치매학회는 치매관련 연구와 교육, 그리고 사회적 활동을 주도하는 학술단체입니다

 

치매 검사는 보건소(무료 선별 검사)와 병원(정밀 검사)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두 곳의 차이점을 비용과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1. 치매 검사 병원 vs 보건소 차이점 비교

구분 보건소검사 검사병원검사
목적 치매 조기 선별 및 예방 치매 확진 및 원인 감별
대상 60세 이상 어르신 치매 의심자 및 확진자
검사 종류 선별 검사 (간이정신상태검사 MMSE, KDSQ-C) 정밀 검사 (신경심리검사, MRI, PET 등)
검사 비용 무료 유료 (건강보험 적용 가능)
소요 시간 20~30분 1시간~수시간 (검사별 차이)
검사 결과 치매 가능성 여부 판단 치매 확진 및 원인 분석 가능
추후 조치 인지 강화 프로그램, 병원 연계 약물 치료, 전문의 상담, 추가 검사

핵심 차이점

  • 보건소에서는 치매 위험 여부만 확인 가능하며, 치매가 의심될 경우 병원으로 연계됨.
  • 병원에서는 MRI, 혈액검사,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치매 유형 및 원인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음.

2. 치매 검사 비용 비교

검사명 보건소 병원(건강보험적용) 병원(비급여)
MMSE (간이정신상태검사) 무료 약 1,000~2,000원 약 10,000원
KDSQ-C (치매선별검사지) 무료 약 1,000~2,000원 약 10,000원
MoCA (경도인지장애 검사) 시행 안 함 약 10,000~20,000원 약 50,000원
CERAD-K (신경심리검사) 시행 안 함 약 30,000~50,000원 약 100,000원 이상
MRI (뇌 자기공명영상) 시행 안 함 약 80,000~150,000원 약 400,000~600,000원
PET (양전자 단층 촬영) 시행 안 함 약 200,000~300,000원 약 1,000,000원 이상
혈액 검사 시행 안 함 약 10,000~30,000원 약 50,000원 이상
유전자 검사 시행 안 함 약 50,000~100,000원 약 300,000원 이상

비용 차이점

  • 보건소 검사완전히 무료이며, 간단한 선별 검사만 시행함.
  • 병원 검사는 건강보험 적용 시 비교적 저렴하지만, MRI, PET 등 정밀 검사는 비급여 항목이 많아 비용이 높음.

3. 치매 검사는 어떻게 받아야 할까?

1단계: 보건소 무료 검사

  • 60세 이상이면 가까운 보건소에서 무료 치매 선별 검사를 받을 수 있음.
  • 검사 결과 치매 위험이 높다면 병원 정밀 검사 추천.

2단계: 병원 정밀 검사

  • 보건소 검사에서 치매 의심 판정이 나오면, 신경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 방문.
  • MRI·PET 등 추가 검사를 통해 치매 확진 여부 및 원인 분석 가능.

마치며

  1. 보건소에서 먼저 무료 검사 후 치매 위험이 있으면 병원 검사 진행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 병원 검사는 건강보험 적용 시 비용 부담이 줄지만, 정밀 검사는 비급여 항목이 많아 비쌉니다.
  3. MRI, PET 등 영상 검사는 수십~수백만 원이 들 수 있어, 건강보험 적용 여부 확인 필요합니다.

치매가 걱정된다면, 보건소에서 먼저 무료 검사를 받고 병원 정밀 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치매검사방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