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에서 발행한 "2025년 중국경제전망"에 의하면 중국 정부가 `25년 성장 목표치를 약 5%로 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를 위한 부양조치와 금융 지원이 한층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내수부양책으로는 이구환신 보조금과 소비쿠폰 발행이 있습니다
주택공급 과잉 해소를 위해 지방정부의 미분양주택 매입을 더욱 장려하고 부동산보유세 추가도입을 사실상 무기한 연기하였습니다.
‘신품질 생산력’ 개선을 위해 반도체펀드 추가 조성과 인공지능·빅데이터 등의 7대 신흥산업에 약 $1,000억를 투자하는 홍색공급망 첨단화 효과도 기대됩니다
금융지원 확대로는 GDP 대비 재정적자율을 `25년 7.4%로 높게 유지하고(`24년 6.9%, IMF) 금리인하 등으로 유동성 공급도 확대하여 성장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국가가 내수부양책과 금융지원을 확대하여 성장목표를 5%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인데, 그럼 중국기업의 성장이 확대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특히 저는 신질품 생산력 기업에 포함되는 IT기업의 성장이 주목됩니다.
경제 전망 보고서는 꼭 전체를 읽어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가 보지 못한 부분을 독자분들은 다른 시선으로 행간의 의미를 캐치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
최근 몇 년간 미국기업에 대해서만 많은 관심이 있었습니다. 미국증시가 조정받고 있는 요즘 딥시크쇼크와 함께 다가온 중국기업에 대해 좀 알아보고자 합니다.
중국 IT 산업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중 하나로, 글로벌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들을 다수 배출했습니다. 중국을 대표하는 IT 기업 중 잘 알려진 TOP 5 기업을 중심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텐센트(Tencent)
세계 최대 게임 회사이자 중국 최대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운영하는 IT 공룡
㉮ 주요 사업
위챗(WeChat): 텐센트는 10억 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한 중국 최대 메신저 앱 ‘위챗’을 통해 막대한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게임 사업: 2025년 기준, 게임 관련 매출에서 세계 1위를 기록 중입니다. 이 회사는 단순히 게임을 개발하는 것을 넘어 전 세계 주요 게임사의 지분을 인수하며 거대한 게임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①모바일게임: 텐센트는 특히 모바일 게임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주자입니다
왕자영요(Honor of Kings):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모바일 MOBA게임
배틀그라운드 모바일(PUBG Mobile):전 세계 10억 다운로드 돌파한 배틀로열 게임
콜 오브 듀티 모바일(Call of Duty Mobile):글로벌 FPS유저들이 사랑하는 게임
②PC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텐센트가 100% 소유한 라이엇게임즈의 대표작으로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MOBA게임입니다.
던전 앤 파이터온라인(Dungeon & Fighter): 중국에서 인기 높은 액션 RPG게임입니다.
▶우리 아들도 좋아하는 리그오브레전드의 라이엇게임즈의 지분 100%가 텐센트에 인수된 기사가 있어서 공유해 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텐센트 클라우드는 중국 기업 및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며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 성장 배경
텐센트는 초기에는 소셜미디어 서비스로 출발했지만, 모바일 게임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글로벌 게임 산업의 최강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투자를 확대하며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미래 전망
텐센트는 게임과 소셜미디어 사업 외에도 AI, 메타버스, 클라우드 사업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과 게임 분야의 지분 투자를 통해 글로벌 IT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tip: 저는 포스팅을 보는 시점의 실제 주가가 궁금할 때가 많아서 실시간 주가확인하러 가기를 꼭 넣어둡니다. 필요하신 분은 링크를 눌러 확인해 보세요 |
2. 알리바바(Alibaba)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이자 세계 4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
① 주요 사업
전자상거래: 타오바오(Taobao), 티몰(Tmall) 등 수많은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운영 중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알리익스프레스로 들어와 있습니다.
핀테크: 세계적 모바일 결제 서비스 알리페이(Alipay)를 통해 핀테크 시장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에서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에 이어 세계 4위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② 성장 배경
알리바바는 중국 내 전자상거래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글로벌화 전략을 통해 해외 시장으로도 빠르게 확장했습니다.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 연구 개발에 집중하며 데이터 중심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③ 미래 전망
해외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과 클라우드 서비스 강화를 통해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또한 신소비(新消费) 트렌드를 반영한 맞춤형 데이터 분석, 물류 자동화 기술 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tip: 저는 포스팅을 보는 시점의 실제 주가가 궁금할 때가 많아서 실시간 주가확인하러 가기를 꼭 넣어둡니다. 필요하신 분은 링크를 눌러 확인해 보세요 |
3. 바이트댄스(ByteDance)
틱톡(TikTok)으로 세계를 강타한 글로벌 소셜미디어 강자
① 주요 사업
틱톡(TikTok): 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며 소셜미디어의 트렌드를 바꾸어 놓았습니다. 현재 미국시장에서 금지조치가 있어 미국법인의 매각이슈가 있습니다. 틱톡미국법인이 매각된다면 바이트댄스의 사업이 어찌 바뀔지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더우인(Douyin): 중국판 틱톡으로, 중국 내에서 수억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며 높은 광고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AI 알고리즘: 바이트댄스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AI 기반 추천 알고리즘으로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합니다.
② 성장 배경
바이트댄스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콘텐츠 추천이라는 혁신적 전략으로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틱톡의 글로벌 성공으로 인해 미국, 유럽, 동남아시아 등 주요 시장에서 막대한 사용자 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③ 미래 전망
AI와 콘텐츠 알고리즘 기술 고도화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생태계를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전자상거래 기능(틱톡 쇼핑)과 교육,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의 확장도 기대됩니다.
▶바이트댄스는 2021년경 주식거래 시장에서 기업공개(IPO)를 할 예정이었으나,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인해 기업공개가 미뤄졌습니다. 바이트댄스의 기업가치는 2024년 11월 기준 자체평가로 418조 원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가치가 가장 높은 비상장기업 중 하나로 꼽힙니다.
4. 화웨이(Huawei)
5G 네트워크 장비와 스마트폰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 기업
① 주요 사업
5G 네트워크 장비: 화웨이는 전 세계 5G 통신망 구축에서 선두를 달리며 글로벌 5G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자체 운영체제 하모니 OS(HarmonyOS)를 통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및 AI 칩: 미국의 제재 이후 자급자족을 위해 반도체 칩 개발과 AI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② 성장 배경
화웨이는 통신 장비 및 네트워크 기술 개발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며 성장해 왔습니다.
IoT(사물인터넷), AI 칩, 스마트 기기 분야에서 사업 다각화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③ 미래 전망
화웨이는 5G, IoT, 자율주행 네트워크 기술 등 미래형 네트워크 인프라 분야에서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웨이는 설립 때부터 도입된 우리 사주신탁제(ESOP)를 통해 직원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약 10만 명 이상의 직원이 소유한 협동조합방식의 지분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직원들에게 지분과 배당금을 분배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경영참여권은 제한됩니다. 런정페이 창업자는 약 1%의 소수지분만을 보유하고 있지만, 경영권을 통해 회사 운영을 주도합니다. 하웨이는 상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필요 없이 자체 수익과 직원 배당으로 운영자금을 충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장을 통해 외부 주주가 개입되면 경영 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도 이유 중 하나입니다.
5. 샤오미(Xiaomi)
스마트폰과 AIoT(인공지능+사물인터넷) 가전 분야에서 ‘가성비’로 글로벌 시장 공략
① 주요 사업
스마트폰: 가성비 전략으로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스마트 가전: AIoT 생태계를 구축하여 공기청정기, 로봇 청소기, 스마트 워치 등 다양한 가전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생활가전제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사업: 최근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며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② 성장 배경
샤오미는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을 무기로 스마트폰과 가전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공략했습니다.
AIoT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홈 생태계를 구축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했습니다.
③ 미래 전망
전기차, 웨어러블, AIoT 분야에서의 성장이 예상되며, 스마트 라이프 플랫폼 기업으로의 변신이 기대됩니다.
샤오미는 최근 중국 베이징 창핑에 최첨단 스마트팩토리를 완공하여 생산효율성과 품질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분석 등의 첨단 기술을 통합하여 다크팩토리(Dark Factory)를 구현하였습니다. 이는 사람개입 없이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어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샤오미는 스마트팩토리를 구조화하여 판매할 계획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건뿐만 아니라 공장도 판매하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tip: 저는 포스팅을 보는 시점의 실제 주가가 궁금할 때가 많아서 실시간 주가확인하러 가기를 꼭 넣어둡니다. 필요하신 분은 링크를 눌러 확인해 보세요 |
결론: 중국 IT 기업의 미래
중국 IT 기업들은 AI, 클라우드, 5G, IoT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빠르게 혁신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비상장된 기업 이외에 텐센트, 알리바바, 샤오미는 연초보다 주가가 많이 상승하긴 했습니다. 중국 IT기업은 글로벌 IT산업의 핵심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조금은 두렵기도 하고 놀랍기도 합니다. 어떤 모습으로 성장하는지 지켜보도록 합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스테이블코인이란? 종류와 사용처 (2) | 2025.03.28 |
---|---|
미국10년물 국채금리 방향성과 환율,부동산,주식시장 변화 (0) | 2025.03.26 |
랩그로운다이아몬드 주얼리 브랜드 판도라(Pandora): 글로벌 트렌드를 이끄는 브랜드 (2) | 2025.03.22 |
랩그로운다이아몬드(랩다이아)란? 감정서종류와 활용법까지 (0) | 2025.03.22 |
비과세 배당주(감액배당) 장점과 배당요건,KT알파, 더블유게임즈,메리츠금융지주 비과세배당주 배당계획알아보기 (0) | 2025.03.19 |